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4

IT 개발 용어 사전 클라이언트 서비스에 접속해 데이터를 요청하는 사용자 프로그램 어떠한 일의 진행 계획이나 순서 프로세스 운영체제에서 실행 중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운영체제로부터 실행에 필요한 메모리를 할당받아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실행한다. 이때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프로세스" 라고한다. 쓰레드 프로세스 안에서 한가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하나의 흐름이다. 각각의 쓰레드는 자신의 Stack 영역을 보유한다. 멀티쓰레드 하나의 프로세스 안에서 여러개의 쓰레드로 자원을 공유하며 작업을 나누어 실행하는 것. 프로토콜 컴퓨터나 서버, 통신 장비 등 장치 사이에서 서로 통신하기 위해 미리 정해놓은 규칙 ex ] HTTP, HTTPS, TCP/IP HTTP, HTTP.. 2023. 10. 12.
static변수와 static 메서드 - Static 정리 - Java에서 Static을 사용한다는 것은 메모리에 한번 할당되어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해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영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Static의 메모리 구조] 일반적으로 우리가 만든 Class는 Static 영역에 생성되고, new 연산을 통해 생성한 객체는 Heap영역에 생성됩니다. 객체의 생성시에 할당된 Heap영역의 메모리는 GC를 통해 수시로 관리를 받습니다. 하지만 Static 키워드를 통해 Static 영역에 할당된 메모리는 모든 객체가 공유하는 메모리라는 장점을 지니지만, GC의 관리 밖의 대상이므로 Static을 자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종료시까지 메모리가 할당된 채로 존재하므로 자주 사용하게되면 시스템 퍼포먼스에 영.. 2023. 10. 4.
Nginx 란? https://ssdragon.tistory.com/60 2023. 7. 18.
자주 쓰는 Linux 명령어 💻 명령어별 상세 옵션 1. cd(change directory) : 디렉토리 이동 cd [경로] : [] 안에 적힌 디렉토리로 이동 cd ~ : 기본 디렉토리로 이동 cd / : 기본 디렉토리 보다 위에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 cd . : 현재 디렉토리 cd .. : 상위 디렉토리 이동 cd - : 이전의 경로로 이동 2. ls(list segment) : 현재 위치에 파일 리스트 정리 ls -l : 파일의 상세 정보 표시 ls -a : 숨김파일을 표시 ls -t : 파일을 만든 시간순(최신순)으로 표시 ls -rt : 파일을 오래된 시간 순으로 표시 3. mv(move) : 파일 이동 mv test1.txt test2.txt : test1.txt 파일이름을 test2.txt로 이름 변경 mv test1..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