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데이터형
오라클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저장할 공간에 대한 데이터형태를 결정해야합니다. 
NUMBER : 데이터형은 숫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NUMBER(precision , scale) 
- precision : 소숫점을 포함한 전체 자릿수 지정 
- scale     : 소숫점 이하 자릿수 지정 
NUMBER(5) : 123 => 00123; 
NUMBER(8,2) : 123456.78 = > 123456.78 
DATE : 세기 , 년 ,월,일,시,분,초 의 날짜 및 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형 
기본 데이터형은  
'YY/MM/DD'           // 구분기호는 \ , $ 등  전부다 허용가능 
2015년 9월 18일   =>    '15/09/18' 로 저장됨 
CHAR :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은  
CHAR 은 고정 길이 문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VARCHAR2 : 데이터형은 가변적인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형입니다.
 VARCHAR2 는 저장되는 데이터에 의해 저장공간이  
 할당되므로 메모리 낭비를 줄일수 있습니다.
SQL 명령문 
독자적인 문법을 갖는 DB표준 언어이다. (ISO에 의해서 지정)
대다수 데이터 베이스는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 , 입력 , 수정 삭제 한다.
SQL 명령문의 종류
DQL : Data Quey Language(질의어)
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데이터 조작어)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데이터 정의어)
TCL : Transaction Control Language(트랜젝션 처리어)
DCL : Data Control Language(데이터 제이어)
SQL*Plus 명령어
툴에서 출력형식을 지정하는 등 환경을 설정한다.
SQL 명령문을 저장하거나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SQL 문을 실행 시키고 그결과를 볼수있도록 Oracle 에서 제공하는 툴이다.
* SQL 자체 명령어는 세미콜론이 필요없다.
selcet 는 데이터 베이스 내의 저장되어있는 테이블을 조회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select * from emp ;
 ' * ' 는 에스테리스크라고 불리어 지는데 테이블내의 "모든(all)" 컬럼을 선택할 때에 
사용되는 특수 문자이다.
from emp => emp로부터
select *  => 출력하라 무엇을?   ' * ' => 모든 컬럼의 정보를


select ename,sal from emp; => ename, sal 만 출력한다
null 에 값을 넣고싶다면 NVL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select ename , sal,sal * 12 , sal * 12 + NVL(comm,0) from emp ; 
null 을 더하고 싶으면   NVL(comm,0)     => comm 에 있는 null값을 0으로 인식하겠다.

명령어
list : 방금 실행한 명령어를 보여준다. list 명령후 / 를 입력하면 list 로 보여줫던 명령어를 실행시켜준다.
run : list 와 / 를 합친 명령어이다. 방금사용한 명령어를 보여준후 실행시킨다.
edit : 편집할수 있는 명령어
host : cmd 창으로 빠지는 명령어
exit : cmd 창에서 다시 SQL 창으로 돌아가고싶을때 사용하는 명령어
save : 저장 명령어
Ex] save sql_1 => sql_1 로 저장하겠다.
replace : 만약 save 를 했는데 파일이 존재하면 뒤에 replace 를 입력해서 파일을 덮어써준다. Ex ] save sql_1 replace // spl_1 가 덮어쓰기가 됨.
start ( @ ) : sql 명령어를 시작함
Ex] start sql_1 .sql / Ex ] @ sql_1 .sql => start 와 @ 는 동일함.
get :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는 명령어
setline size : 출력사이즈 설정가능 명령어
column : 테이블의 간격조절 명령어
set pagesize : 테이블의 레코드 갯수 사이즈 설정 명령어
// pagesize의 기본 3개를 제외하고 사이즈설정됨
Ex ] set pagesize 10 => pagesize 3개 제외하고 7개로 사이즈설정
 select ename , sal , to_char(sal , 'L0,000,000.00') from emp;
=> 원화 표시를 앞에 넣고싶을때  // L 이 Local 의 약자 라서 한국은 원화표시로 나온다.
오라클 비교 연산자
연산자                      의미
=                               같다
>                               크다
<                               작다
>=                      크거나 같다
<=                      작거나 같다
<>,!=,^=               다르다
논리연산자
연산자                                의미
AND                      두가지 조건 모두를 만족해야 검색 가능
OR 두가지 조건중 하나만 일치해도 검색 가능
NOT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만 검색 가능
'국비 과정 > Oracle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국비 - 0824 ( 숫자 함수 , 문자 함수 , 날짜 함수) (0) | 2022.08.24 | 
|---|---|
| DB - 0824 예제 (0) | 2022.08.24 | 
| 국비 - 0823 ( 와일드카드 , NULL , ORDER BY) (0) | 2022.08.23 | 
| DB - 0823 예제 (2) | 2022.08.23 | 
| DB - 0822 예제 (0) | 2022.08.22 | 

 
                    
                  